Surprise Me!

[여의도풍향계] 장외로 밀린 청년 당대표…집권여당 '증명의 시간'

2022-10-09 0 Dailymotion

[여의도풍향계] 장외로 밀린 청년 당대표…집권여당 '증명의 시간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민의힘이 내홍의 소용돌이에서 빠져나올 전기를 마련했습니다.<br /><br />이준석 전 대표가 낸 비상대책위원회 추가 가처분 신청이 법원에서 기각된 것인데요.<br /><br />당 윤리위원회는 이 전 대표를 추가로 징계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신뢰 회복을 위한 근본적인 방향에 대해선 의구심도 제기됩니다.<br />여의도 풍향계에서 최지숙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정치의 사법화' 논란까지 번졌던 국민의힘의 출구 없는 내홍이 새 국면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가처분 전쟁을 빠져나온 당은 안도의 한숨을 쉬었고, 반면 이준석 전 대표는 윤리위원회 추가 징계까지 겹치며 큰 타격을 입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이 전 대표가 제기한 첫 가처분 신청에서 '주호영 비대위'에 제동을 걸었던 법원은, '2라운드'에선 '정진석 비대위'에 힘을 실었습니다.<br /><br />추가 가처분 신청을 모두 각하, 기각한 것입니다.<br /><br />법원은 2기 비대위 출범에 법적 하자가 없다고 봤고, 개정 당헌이 소급 금지 원칙에 위배된다고 지적한 이 전 대표 측의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승자는 웃었고, 패자는 고개를 떨궜습니다.<br /><br />정진석 비대위원장은 '법원의 현명한 판단에 감사 드린다'며 하나 된 힘으로 심기일전 하겠다고 각오를 다졌습니다.<br /><br />이 전 대표는 법원의 결정을 수용하고, '외롭고 고독한 길을 가겠다'는 짧은 입장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이 전 대표의 시련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당 윤리위는 같은 날, 이 전 대표에 대한 추가 징계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5시간 넘는 회의 끝에 내놓은 결과는 당원권 정지 1년 추가.<br /><br />모두 1년 6개월의 징계 처분을 받게 되면서, 이 전 대표는 당내에서 설 자리를 잃었습니다.<br /><br /> "소속의원 등에게 지속적인 모욕적 비난적 표현을 사용하며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은 민심 이탈을 촉진시킨 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2024년 1월 초까지 당원권이 정지되는데, 임기 내 당대표직 복귀가 불가능해진 것은 물론, 총선 공천도 불투명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정치 행보를 이어가기 위해 독자적인 활로 모색이 시급해졌습니다.<br /><br />장외로 밀려난 이 전 대표를 두고 당내에서도 여론이 분분합니다.<br /><br />분열과 고립을 자초했다는 시각도 있지만 나와 다른 목소리를 인정하는 '포용 정치'에서, 당이 멀어졌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이 전 대표가 보수 정당에서 지닌 상징성은 작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2011년, '박근혜 키즈'로 여의도에 발을 딛은 이 전 대표는 정치 신예에서, 10년 뒤 최연소 당대표 자리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이대남'의 지지 속에 진보 진영이 내걸어 온 '젊음'과 '변화'의 이미지를 보수 진영에 끌어왔고, '서진 정책'으로 외연 확장 시도에도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취약했던 지역에 대한, 취약했던 세대에 대한 공략을 지속해 예전보다 훨씬 더 큰 당, 넓은 당이 됐습니다."<br /><br />이 전 대표에 비판적인 당내 인사들도 '선거 승리의 공은 무시할 수 없다'고 말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친윤계 인사들과의 갈등 끝에 입지가 위태로워지면서, 당 개혁의 공은 다시 국민의힘으로 넘어갔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은 거듭 단합을 강조하며 전열을 재정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'사법 리스크'에 '이준석 리스크'도 벗어났으니, 이제 떨어진 신뢰 회복을 위한 정치력을 스스로 증명해야만 합니다.<br /><br />당 지도부도, 차기 당권주자도 한목소리로 '윤석열 정부의 성공'을 내걸었지만, 아직 갈 길은 멀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엄습한 경제위기 우려 속에 체감 가능한 해법은 보이지 않고, 거야(巨野)와의 이슈 선점 경쟁에서도 사실상 뒤처져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민주당 단독으로 통과시켰습니다. 피눈물 흘리는 농민들의 마음을 두고만 볼 수 없었습니다."<br /><br /> "노란봉투법을 꼭 통과시키자는 사회적 여론이 비등합니다. 헌법에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, 그 기본권을 지키는 사회를 만들어야 합니다."<br /><br />'비속어 논란'과 부적절한 대응 등이 도마에 오르며 여권의 여론조사 지표도 롤러코스터를 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기감이 심화하며 내년 초로 전망되는 전당대회 흥행에 기대를 걸어보고 있지만,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세종대왕은 '여민'(與民)의 리더십을 정치의 요체로 삼았습니다.<br /><br />통치자의 입장에서 백성을 위하는 '위민'(爲民)보다, 백성과 눈높이를 함께 하는 '여민'(與民)을 택한 것입니다.<br /><br />신하들을 대할 때에도 침묵을 안타깝게 여기고, 다수와 다른 의견을 내는 이들에게 오히려 관대했다고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집권여당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선은 아직 불안합니다.<br /><br />크고 단단한 그릇으로 소통과 포용의 정치를 펼친다면 바다가 비에 젖지 않듯, 일일이 세풍에 흔들릴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#이준석 #국민의힘 #여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